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0733
한자 李汝發
이칭/별칭 군실(君實),정익(貞翼)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사석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21년연표보기 - 이여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51년 - 이여발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3년 - 이여발 숙천부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0년 - 이여발 삼도통제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8년 - 이여발 병조참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9년 - 이여발 평안도병마절도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78년 - 이여발 어영대장 역임
몰년 시기/일시 1683년 6월연표보기 - 이여발 사망
출생지 이여발 출생지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사석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이여발 묘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영동
성격 무신
성별
본관 한산(韓山)
대표 관직 병마절도사|어영대장

[정의]

조선 후기 예산 출신의 무신.

[개설]

이여발(李汝發)[1621~1683]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함경도·평안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고 어영대장을 지냈다.

[가계]

이여발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군실(君實),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할아버지는 인조반정의 정사공신 한천부원군(韓川府院君) 이의배(李義培)이고, 아버지는 한원군(韓原君) 이목(李穆)이며, 어머니는 현령 김희온(金希溫)의 딸 연안김씨(延安金氏)이다.

[활동 사항]

이여발은 1621년(광해군 13) 지금의 예산군 봉산면 사석리에서 태어났다. 정사공신이자 병자호란 때 전사한 이의배의 손자이며, 아버지 이목 또한 이괄의 난에 참전하였다가 전사한 무신 집안이다. 1651년(효종 2) 무과에 급제한 후 비변사낭관, 도총도부사를 거쳐 1653년 숙천부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만포첨사, 영흥부사, 장단방어사, 충청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회령부사로 부임했을 당시에는 북방인들과 거래하는 시장을 강력하게 통제하여 조선인의 피해를 크게 줄였다. 이후 가선대부에 오르고 한흥군(韓興君)에 봉해졌다.

이여발은 1660년(현종 원년) 삼도통제사가 되었고, 이후 함경도병마절도사와 포도대장을 거쳐 1668년 병조참판이 되었다. 1669년에는 평안도병마절도사로 부임하여 성벽을 새로 수축하고 북방의 수비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1678년 어영대장이 되었으며, 이후 한성부좌·우윤과 역임하고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에 이르렀다. 1683년(숙종 9) 6월에 사망하였다.

[묘소]

이여발의 묘소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운영동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