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조태구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0747
한자 趙泰耉
이칭/별칭 덕수(德受),소헌(素軒),하곡(霞谷),문정(文貞)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갈신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60년 - 조태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83년 - 조태구 생원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86년 - 조태구 별시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02년 - 조태구 충청도관찰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05년 - 조태구 형조참의, 대사성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20년 - 조태구 우의정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22년 - 조태구 영의정 제수
몰년 시기/일시 1723년 - 조태구 사망
출생지 조태구 출생지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지도보기
묘소|단소 조태구 묘소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대률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양주(楊州)
대표 관직 우의정|영의정

[정의]

충청남도 예산에 묘소를 쓴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조태구(趙泰耈)[1660~1723]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영의정을 지냈다. 글씨를 잘 썼고, 양전(量田) 등의 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산법(算法) 관련 책을 펴내기도 하였다.

[가계]

조태구의 본관은 양주(楊州)이며 자는 덕수(德受), 호는 소헌(素軒)·하곡(霞谷),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할아버지는 병조판서 조계원(趙啓遠)이고, 아버지는 우의정을 지낸 조사석(趙師錫)이다. 어머니는 권후(權垕)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활동 사항]

조태구는 1683년(숙종 9년) 생원이 되고 168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급제 이후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설서, 문학, 승지를 거쳐 1702년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가 1705년 형조참의, 대사성을 지냈다. 그 뒤 우참찬을 역임하고 1720년(경종 1년) 우의정에 올랐다. 1721년과 1722년에 일어난 신임사화(辛壬士禍) 이후 노론이 몰락하고 소론이 집권하자 조태구는 우의정에 올라 최석항(崔錫恒), 김일경(金一鏡) 등과 국론을 주도하였다. 당시 영의정은 정적인 성격의 노론인 김창집(金昌集)과 좌의정 이건명(李健命)이었다.

신임사화는 신축년과 임인년에 일어난 사화이다. 숙종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뒤를 이어 경종이 즉위하였는데, 경종은 성격이 온순하고 자식 없이 병이 많았다. 이에 당시의 노론 4대신이었던 영의정 김창집, 좌의정 이건명, 영중추부사 이이명(李頤命), 판중추부사 조태채(趙泰采) 등이 하루속히 왕세제(王世弟)를 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이 관철되어 1721년(경종 원년) 8월 왕의 아우인 연잉군[후에 영조]을 왕세제로 책봉하게 되자 소론파의 우의정 조태구, 사간 유봉휘(柳鳳輝) 등은 시기상조론을 들어 부당함을 상소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후 김창집의 건의에 따라 왕세자가 정무를 대리하게 되자 조태구는 최석항, 조태억(趙泰億), 박태항(朴泰恒) 등과 함께 대리청정의 환수를 청하여 실현시켰다. 이어 같은 해 12월 전 승지인 김일경과 이진유(李眞儒), 윤성시(尹聖時) 등이 상소하여 건저(建儲)[왕의 자리를 계승할 왕세자나 황태자를 정하던 일]를 주장한 노론 4대신을 4흉(匈)으로 몰아 탄핵하였다. 또한 목호룡(睦虎龍)으로 하여금 4대신을 역모로 무고케 하여 결국 4대신은 사사(死賜)되었다. 이 화옥으로 소론이 집권하게 되고 목호룡은 동성군(東城君)의 작위까지 받았다.

신임사화 이후 소론은 과격파와 온건파로 나뉘어 정책 결정에 논란이 많았는데, 조태구는 윤순(尹淳)과 함께 온건파의 중심인물이었다. 조태구의 성격은 온화하고 위풍이 있었으며, 평소 검소한 생활을 하여 여러 번 외직에 나갔어도 재물이 쌓이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강인한 성격이 못되어 과단성 있는 행동이 요구되는 공무에 남의 부탁을 잘 받아들여 정치에서의 명성은 얻지 못하였다고 한다. 조태구는 신임사화 이듬해인 1723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조태구가 펴낸 책으로는 『주서관견(籌書管見)』이 있으며, 남긴 글씨로는 고하도 「이충무공고하도유허비(李忠武公高下島遺墟碑)」, 「왕자연령군명비(王子延齡君明碑)」, 「완산백조구석비(完山伯趙龜錫碑)」, 「길성군허유례비(吉城君許惟禮碑)」 등이 있다.

[묘소]

조태구의 묘소는 예산군 대흥면 대율리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