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농사 관련 방언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498
한자 農事關聯方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명재

[정의]

충청남도 예산 지역 사람들이 농사와 관련하여 쓰는 말.

[개설]

예산 지역은 예로부터 밭농사와 농사가 이루어지는 농촌이다. 동북부 지역에는 차령산맥이 지나가지만 고산준령[높은 산과 험한 고개]이 많지 않아 산간을 개간한 밭농사가 성행하였다. 서부 평야 지역에서는 논농사가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농사와 관련된 말은 예산 사람들의 삶의 언어였으며, 대체로 경작 도구를 이르는 말과 경작지와 관련된 말, 경작·타작과 관련된 말, 곡물의 이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채록/현황]

농사와 관련한 예산 지역 언어는 1999년 교원대학교 교수인 성낙수(成洛秀)가 채록 정리한 수십 개가 있고, 2012년 이후 출간된 이명재의 『예산말사전』에 상당량 채록·정리되어 있다.

[농사와 관련된 예산의 방언]

농사와 관련한 예산 지역의 언어 소개는 표준어와 차이가 있는 방언에 한정하며, 채록된 것 가운데 일부만 추려 소개한다.

경작(耕作)과 관련된 방언은 다음과 같다. 벼는 베, 벼 이삭은 베이삭·벳이삭[벤니삭]·벳나락, 볍씨는 종자·씻나락, 김매다는 짐매다·지슴매다, 애벌 매다는 애벌 매다·아시 매다, 놉은 품팔이·일꾼, 곁두리는 젓두리·샛두리·젓밥, 삯메기는 생메기, 꽹과리는 꽹매기, 보습은 보십, 쇠는 쇠·쉐, 써레는 쓰레, 호미는 호맹이·호미, 쇠스랑은 소시랑, 농기구는 끌개는 끄승개, 누에 거적은 눼망, 순지르기는 순잡기, 괭이는 괭이·쾡이라고 한다.

타작(打作)과 관련된 방언은 다음과 같다. 가을걷이는 갈귿이[갈그지]·갈걷이[갈거지], 볏단은 벳단·벳뭇·벳토매, 볏가리는 벳누리·벳가리, 벼훑이는 훌테·그네, 개상은 개상·개생, 새끼는 삿내끼·사내끼, 노끈은 노깽이, 광주리는 광우리, 바구니는 바구리, 멱둥구미는 메꾸리·며꾸리, 삼태기는 삼태미라고 한다.

도정(搗精)·방아와 관련된 방언은 다음과 같다. 절구는 절구통·도구통, 절굿공이는 절구땡이·절굿대, 확은 학·학절구, 맷돌은 매·맷돌, 겨는 저, 왕겨는 왱겨, 키는 치, 까불다는 까불르다·까불른다, 어레미는 얼게미·얼멩이·얼맹이라고 한다.

곡물(穀物)과 관련된 방언은 다음과 같다. 깜부기는 깜배기·깜붸기, 밭은 밧, 밭둑은 밧둑, 밭두둑은 밧두둑·밧두렁, 팥은 팟, 조는 스슥, 수수는 쑤수·수수깽이, 수숫대는 쑤수땡이, 수숫단은 수숫토매, 깨는 꽤, 들깨는 들꽤, 참깨는 창꽤, 단수수는 단쑤깽이, 옥수수는 옥수깽이, 곡식을 사다는 돈 팔다·[돈을] 팔다, 곡식을 팔다는 돈 사다·[돈을] 사다라고 한다.

채소와 그 밖의 방언은 다음과 같다. 무는 무수, 상추는 부루, 시래기는 씨라구·씨래기, 배추는 배차, 배추 포기는 배차 포갱이, 부추는 졸, 시금치는 시근치, 아욱은 아옥, 고갱이는 고뱅이·속고뱅이, 고구마는 감자, 감자는 보리감자라고 한다.

[특징]

예산 지역은 차령산맥으로 둘러싸인 북동남부 지역과 예당평야가 펼쳐진 서부 지역으로 구분된다. 대체로 대술면·신양면·대흥면·광시면·응봉면·봉산면덕산면 일부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밭농사와 관련된 말을 많이 쓴다. 오가면·삽교읍·고덕면 지역은 높은 산이 없는 평야 지역으로 논농사와 관련된 말을 많이 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