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주생활에 관한 방언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505
한자 住生活-關-方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명재

[정의]

충청남도 예산 지역 사람들이 쓰는 주생활과 관련된 말.

[개설]

집은 생활을 영위하는 물리적 건물을 뜻하며, 주생활은 집안과 집밖에서 이루어지는 생활 일반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주생활 언어는 건축물과 그에 딸린 생활 가구와 실내 장비, 부엌과 방과 마루, 토방, 안마당과 바깥마당, 앞뜰과 뒤뜰, 장독대 따위를 포함한다. 또한 취침과 식사, 휴식, 개인 생활과 가족 간의 공동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대한 언어와 주생활에 필요한 도구를 이르는 언어도 포함한다.

[채록/현황]

주생활과 관련한 예산 지역 언어는 1999년 교원대학교 교수인 성낙수(成洛秀)가 채록 정리한 수십 개가 있고, 2012년 이후 출간된 이명재의 『예산말사전』에 상당량 채록·정리되어 있다.

[주생활에 관한 예산의 방언]

주생활과 관련된 예산 지역의 언어 소개는 표준어와 차이가 있는 방언에 한정하며, 채록된 것 가운데 일부만 간추려 소개한다.

가구(家具)와 관련된 방언은 다음과 같다. 베개는 비개·버개, 살강은 살강, 시렁은 실겅, 열쇠는 열대·쇳대, 누비이불은 뉘비이불, 병풍은 평풍·펭풍이라고 한다.

방(房)과 관련된 방언은 다음과 같다. 거멀못은 그물못, 구기다는 꾸기다·구기다, 귀얄은 솔풀·풀뼈, 벽은 배람박·바람박, 섬돌은 슴돌, 시렁은 실겅, 흙손은 흑손·흑칼이라고 한다.

건물(建物)과 관련된 방언은 다음과 같다. 곁방은 접방, 고드름은 고도롬, 기둥은 지둥, 기스락물은 전지랑물, 기와집은 개와집·지와집, 꼬아진 줄은 끈내끼, 끈은 끈냉이·끈내껭이, 낙숫물은 추녓물·추념물, 널빤지는 널판지·널판때기, 노끈은 노내끼·노끈냉이, 대문은 댑문, 마루는 말래, 문지방은 문주방·줌방, 흙벽돌은 흑벡돌, 부엌은 붝, 사다리는 새닥다리·사닥다리, 상량은 상낭, 새끼는 삿내끼·사내끼, 아궁이는 아국쟁이·구락쟁이·구락징이·아궁지, 연기통은 영기통, 용마루·용마름은 용구새, 이다는 일다·해일다, 이엉은 영·이응, 주춧돌은 주추·주춧독, 지붕은 지벙, 층계·계단은 칭게·칭칭다리·칭칭대라고 한다. 마당과 관련된 방언은 다음과 같다. 돌담은 독담, 뒤꼍·뒤뜰은 뒤란·뒤뚜란, 뒷간·변소는 두깐·똥두깐·똥수깐, 넉가래는 죽가래, 담벼락은 담베락·담부락·댐부락, 밀짚 방석은 밀댑방석, 빗자루는 빗자락, 뜰[비가 안 새는 곳]은 토방, 변소는 두깐·뒤깐·똥두깐·똥독간·똥쑤깐, 안뜰은 안뚜란, 울타리는 울·울타리, 장독대는 장꽝이라고 한다. 우물과 관련된 방언은 다음과 같다. 개울은 갱굴·개굴창·갱구장, 거품은 거쿰, 도랑은 똘강·또랑, 두레박은 타래박, 또아리는 똥아리, 봇도랑은 봇똘, 수챗구멍은 수챗구먹·수챗구녕, 우물은 샴·새얌·새암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