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0735
한자 李義培
이칭/별칭 의백(宜伯),충장(忠壯)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6년연표보기 - 이의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9년 - 이의배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이의배 인조반정에 가담
활동 시기/일시 1630년 - 이의배 한천군에 봉해짐
활동 시기/일시 1635년 - 이의배 공청병마절도사 임명
몰년 시기/일시 1637년연표보기 - 이의배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01년연표보기 - 이의배 영의정 한천부원군 추증 받고 정려와 시호 충장 하사
출생지 이의배 출생지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지도보기
묘소|단소 이의배 묘소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봉림리 산30 지도보기
성격 무신
성별
본관 한산(韓山)
대표 관직 오위도총부부총관|병마절도사

[정의]

조선 후기 예산 출신의 무신.

[개설]

이의배(李義培)[1576~1637]는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병자호란 때 전사하였다.

[가계]

이의배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의백(宜伯),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한양군(韓陽君) 이흥준(李興俊)이고, 아버지는 장령을 지낸 이흡(李洽)이며, 어머니는 예조판서 이우직(李友直)의 딸 여흥이씨(驪興李氏)이다.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하다 사망한 한원군(韓原君) 이목(李穆)이 아들이다.

[활동 사항]

이의배는 1599년(선조 32) 무과에 급제해 선전관이 되었고 이어 감찰로 전임되었다. 그 뒤 보령현감으로 발탁되었으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교체되었다. 광해군 때에는 출사하지 않다가 1623년 인조반정에 가담해 반정 성공 후 통정대부로 승진하고 명천부사에 제수되었다. 이괄의 난 후 전라좌수사로 승진하였다. 이어 인동부사를 역임하였고, 1630년(인조 8) 한천군(韓川君)에 봉해졌다. 이후 충청도병마절도사, 김해부사, 전라병사, 오위도총부부총관, 황해·평안·함경도 등의 병사를 거쳐 1635년 충청도병마절도사로 다시 부임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이의배는 임지 부근의 속오병(束伍兵) 수천 명을 이끌고 남한산성으로 향하였다. 경기도 광주(廣州) 부근에서 적의 습격을 받아 선봉장 이차형(李次衡)·이근영(李根永)이 전사하고 중과부적이 되자, 영남근왕병(嶺南勤王兵)의 합류를 기다렸다가 다시 진격하였다. 경상좌절도사 허완(許完)과 우절도사 민영(閔栐)의 군과 함께 광주 쌍령에 진을 치고 공격해 온 적과 접전 끝에 비장(裨將) 이억(李檍), 노비 조축생(曺丑生)과 함께 전사하였다.

[묘소]

이의배의 묘소는 예산군 봉산면 봉림리 산30번지에 있다. 이의배의 묘소에는 묘비와 상석, 문인석, 석주 등이 배치되어 있고, 이의배 묘 오른쪽으로는 이의배 자손들 묘 13기가 조성되어 있다. 이의배 묘소에는 2011년 경기도 시흥에서 이장하였음을 기록한 비석이 건립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이의배는 순절 직후 병조판서로 증직되었으며, 1701년(숙종 27) 영의정 한천부원군(韓川府院君)에 추증되고 아들 이목과 더불어 정려를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