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궁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428
한자 水宮歌
이칭/별칭 토끼타령,토별가(兎鼈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9년 7월 - 「수궁가」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최운식이 대흥면 상중리의 소리꾼 노성환[남, 76세]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 「수궁가」 예산군에서 발행한 『예산군지』에 수록
채록지 상중리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지도보기
성격 판소리다섯마당
가창자/시연자 노성환[남, 76세]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지역에 전하는 판소리다섯마당 가운데 하나.

[개설]

「수궁가(水宮歌)」는 용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 자라가 세상에 나가 토끼를 데려왔는데, 토끼가 묘한 꾀를 내어 용궁에서 살아온다는 설화 「구토지설(龜兎之說)」을 판소리로 만든 것이다. 「토끼타령」, 「토별가(兎鼈歌)」라고도 불린다. 조선 후기 재미있는 이야기 구조와 해학적 내용, 짜임새 있는 가락을 갖추어 가장 인기 높은 판소리로 자리 잡았다. 완판 「수궁가」의 주요 대목은 ‘용왕 탄식-약성가(藥性歌)-토끼 화상-고고천변(皐皐天邊)-토끼와 자라- 토끼 신세-토끼의 기변-가자가자-백매주를 바삐 지나-토끼 욕설’ 등인데, 예산 지역에서 채록된 판소리 「수궁가」는 자라가 용왕의 명으로 토끼의 간을 구하러 육지에 나왔다가 보게 되는 산천의 풍광을 노래한 ‘고고천변’의 한 부분이다.

[채록/수집 상황]

「수궁가」는 1999년 7월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의 소리꾼 노성환[남, 76세]이 부르는 것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최운식이 채록한 것이며, 예산군에서 발행한 『예산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구연자가 연로한 까닭으로 다 부르지 못하고 수궁가의 한 대목만 채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수궁가」는 사설인 ‘아니리’와 ‘창(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니리’는 「수궁가」의 앞부분을 설명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고, ‘창’은 자라가 바다를 헤엄쳐 육지로 나오는 부분과 자라가 뭍에 나와 처음 보는 산천의 아름다운 풍광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짜여 있다.

[내용]

아니리: “물속이두 인저 왕이 있거든. 육지만 있는 게 아녀. 용왕이 빙 나서 인저 전부 재상들헌테 얘기하니께, 거북이가 육지두 대니구, 바다두 대니구 허니께, 토끼 간을 먹으야 낫는다구 해서 육지를, 거북이가 엄명을 받어 갖구 나오는데”

창: “고구천병은 일이로홍 부상이 둥실 높이 떠 / 양국에 잦은 안개 월붕으루 돌구 / 어장친 개 짖고 호연봉 구름이 떴다 / 두화두라 둥대둥 어려운 양자고 철새는 날아든다 / 앞발로 벽파를 찍어 당기고 / 뒷발로 장랑을 흘텅 당그리두리 당그당실 높이 떠 / 만이 고고는 만금배 구름 소리는 학선이 울어 있고 / 칠보산 검은 구름은 허공이 둥실 높이 떠 / 괴상방울을 울차 출렁 깊었는데 / 이 골물은 주루르 저기 저 골물은 솰솰 / 열이 열골 물에 한데 합수치니 / 천벙지고 지방지고 언덕지고 방울지니 / 벽수는 뚝뚝 장송은 낙락 국화는 점 흐를 적이 / 올려다보느냐 천봉은 만학이요 / 내려다보느냐 백사진 땅이 / 허리 굽은 늙은 장수 광풍을 못 이기어 우줄우줄”

[의의와 평가]

「수궁가」는 예로부터 인기가 높은 판소리였다. 여러 동물들이 나와 펼치는 사건의 전개가 흥미진진하며, 재치와 해학이 넘치는 가사가 재미를 더한다. 거기에 여러 악조와 장단이 어우러져 흥을 돋우는데, 예산 지역에서 채록된 수궁가의 한 대목도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