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마당질 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874
이칭/별칭 타작질 소리,도깨질 소리,도깨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조영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2년 - 조영배 「마당질 소리」 채록
채록지 마당질 소리 - 서귀포시 강정동 외 제주도 전역
가창권역 제주도 전역
성격 민요|노동요
토리 레선법
출현음 레미솔라도
기능 구분 농업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모방창, 1마디를 기준선율로 하여 메기고 받음
박자 구조 6/8박자
가창자/시연자 제주도 남녀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지역에서 도리깨질을 하면서 곡식을 타작할 때 부르던 노동요.

[개설]

「마당질 소리」는 타작질 소리, 도깨질 소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탈곡기가 따로 없었던 과거에는 콩이나 메밀·보리·팥 등 곡식을 수확한 다음 그것을 도리깨라고 하는 도구로 내리쳐 탈곡했는데, 이 일에 수반되었던 민요가 바로 마당질 소리이다.

이 작업은 주로 마당이나 또는 밭의 넓은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바로 이 점 때문에 ‘마당질 소리’라고 부르고 있다. 도리깨를 내려치는 작업은 한 사람이 할 수도 있지만, 대개는 두세 사람이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한다. 또한 다른 한 두 사람은 탈곡할 곡식을 조정하는 보조적인 일을 한다.

그러기 때문에 이 작업에 수반되는 소리는 자연히 타작질하는 두 사람 이상이 교대로 가창하며, 나머지 사람들도 후렴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채록/수집 상황]

1960년대 이후에 제주대학교 김영돈 교수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설 채록 작업이 이루어져 왔고, 1990년대 이후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조영배 교수를 중심으로 사설 채록은 물론 다양한 악곡 채보가 이루어져 왔다.

[구성 및 형식]

「마당질 소리」는 한 사람의 선소리꾼이 본 사설을 엮으면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어야 홍아’, ‘어유 하야’ 등의 후렴구를 받는 형태로도 부르고, 한 마디의 간격을 두고 선소리를 뒷소리가 계속하여 모방하는 형태로도 부른다.

음악적으로 보면, a-a' 식으로 선후가 매기고 받거나 모방을 하다가, 도리깨질을 더욱 힘을 내어 해야 할 상황[또는 도리개질이 흥겨워질 경우]에서는 갑자기 가락이 높아지면서 b-b'의 가락이 나오면서 전개된다. 그러다가 다시 a-a'의 가락으로 되돌아오는 식으로 전개된다.

[내용]

「마당질 소리」는 서귀포 지역에도 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작업의 강한 박절적 성격으로 인하여 선율이 비록 유창하지는 못하지만, 리드미칼한 자극이 있는 관계로 상당히 흥겹게 부른다.

사설의 내용은 크게 이 노동의 상황과 관련된 내용, 제주도민들의 삶의 상황에 대한 내용, 여성들이 이 작업을 할 경우에는 시집살이와 관련된 내용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도리깨질을 하면서 타작하는 일은 보리나 콩 등 주로 여름 작물을 수확할 때 자주 하였다. 때문에 6월 또는 한여름, 조금 늦는 경우라 할지라도 초가을 땡볕 아래에서 이 작업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도리깨질 자체가 상당히 힘든 노동이기도 하다.

때문에 「마당질 소리」는 이러한 노동을 이겨내려는 권력(勸力)적인 기능을 상당부분 하는 민요라고 할 수 있다.

[현황]

다른 민요와 마찬가지로 「마당질 소리」의 노동 현장성은 이미 사라졌다. 그러나 이 민요 역시 제주도민들에게 깊이 각인되어 있기 때문에 아직도 노인분들은 이 민요의 가락과 사설을 잘 기억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음악적 다양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박자적인 틀 안에서 가락을 자유롭게 변이하면서 부르는 특징이 있는 민요로서 음악적 의의가 있으며, 사설 또한 제주도민의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