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맥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0022
한자 伽倻山脈
영어공식명칭 Gayasanmac mountains
이칭/별칭 가야산지(伽倻山地)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가야산맥 - 충청남도 예산군|충청남도 홍성군|충청남도 서산시|충청남도 보령시
해당 지역 소재지 가야산맥 - 충청남도 예산군
성격 산맥
높이 677.6m[가야산 기준 해발고도]

[정의]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가야산과 상왕산 등이 연계된 가야산지 이외의 산봉들까지 연계된 산체 또는 산계.

[개설]

가야산(伽倻山)과 관련하여 가야산지(伽倻山地)라는 용어는 가야산[가야봉], 상왕산(象王山) 등 지형적으로 연계된 여러 산봉들을 총칭하는 것이고, 가야산맥가야산지를 더 본격적 의미의 산계(山系)로 간주하는 것으로 가야산과 상왕산 등으로 구성된 가야산지 이외에 일대의 연접한 산봉들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가야산과 상왕산 등으로 구성된 가야산지가야산으로 단순화해서 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가야산지, 가야산가야산맥의 호칭은 내용에 따라서 “상왕산을 배재한 가야산 단일 산체(山體)”, “가야산과 상왕산이 연계된 산체로서의 가야산지 또는 가야산”, 그리고 “가야산지 이외의 산봉들까지 연계된 산체[산계]를 지칭하는 가야산맥”으로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글에서 가야산맥은 “가야산지 이외의 산봉들까지 연계된 산체[산계]”를 지칭한다.

[명칭 유래]

가야산 지명은 백제 때 ‘상왕산’이라 불렀는데, 신라 통일 후 가야산 밑에 가야사(伽倻寺)를 세운 뒤 ‘가야산’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야(伽倻)라는 산 이름은 불교에서 신성시되는 코끼리, 즉 상왕(象王)의 범어(梵語)[산스크리트(Sanskrit)어] 카야(Kaya)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나, 정확하지는 않다. 즉, 상왕과 가야 모두 불교에서 신성시되는 코끼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자연환경]

가야산맥은 차령산맥(車嶺山脈) 이서의 태안반도에서 가장 주요한 산지이며, 태안반도의 한복판에 남북 방향으로 길게 분포하고 있다.

가야산맥의 지형은 한반도 서해안 지역의 일반적인 특징인 구릉성 산지[해발고도 100~200m]로 형성된 노년기 지형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중부지방의 지형을 지배하는 대표적인 산계인 광주산맥(廣州山脈)이나 차령산맥의 영향권과 관계없는 독립된 소지형구(小地形區)를 이루고 있다.

가야산[677.6m]을 최고봉으로 하는 가야산맥은 저산성(低山性)으로서 연속성이 없는 소규모의 구릉성 산지들이 거의 불규칙하게 구형의 종순산지(從順山地)[본디 험하였으나 풍화 작용으로 계속 깎이면서 높낮이와 경사가 없어지고 등선이 완만하게 되어 이루어진 산지] 형태로 도상구릉(島狀丘陵)[주위의 평지 속에서 홀로 있는 언덕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골짜기 바닥에 흐르고 있는 대부분의 하천들은 자유곡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릉들은 차별침식이나 삭박작용(削剝作用)의 결과로 남은 잔구(殘丘)[준평원 위에 남아 있는 굳은 암석의 구릉]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가야산맥의 수암산(秀岩山)[260.1m]과 덕숭산(德崇山)[495.2m]은 예산군에 있고, 가야산과 석문봉(石門峰)[653m]은 예산군과 서산시의 경계면에 있으며, 용봉산(龍鳳山)[381m]과 일월산(日月山)[394.3m]은 홍성군에 있다. 전체적인 산계는 남북 방향으로 있으며, 석문봉에서 일월산까지 14㎞의 길이로 뻗어 있는 산지로서 흑운모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밖에 청룡산(靑龍山)[236m]은 홍성군에, 봉화산은 보령시에 있는데, 두 산 역시 약 8㎞ 길이의 남북 방향 산지로서 변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지역의 산지들은 홍성읍 서북쪽과 서남쪽에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다.

[현황]

가야산맥 일대의 산계는 기복량(起伏量)을 기준으로 할 때 서부의 저능성 산지, 중앙 및 동부의 산지, 남부의 저산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서부의 저능성 산지는 은봉산[283m]에서 동암산[174m], 연암산(燕岩山)[440.8m], 삼준산(三峻山)[489.9m], 봉화산[228m], 삼불산(三佛山)[160m], 형산(衡山)[210m]까지 직선거리 19㎞로서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고, 기타 지역은 해발고도 20~80m 내외의 저릉 지대를 형성하면서 천수만과 접하고 있다.

둘째, 중앙부의 산지는 태안반도의 동측을 남북으로 가로막고 있는 소규모의 남북 방향 산지로서 차령산맥과 연결되지 않는 독립 산체를 이루고 있다. 이 방향의 산체에는 상왕산[307m]에서 수정봉(水晶峰)[453m], 일락산[521m], 옥양봉(玉洋峰)[621.4m], 석문봉, 가야산, 원효봉(元曉峰)[600m], 뒷산[448m], 수덕산, 수암산, 용봉산, 일월산까지 남북으로 18.5㎞의 거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산체의 최저고도는 대체로 60~100m이고 남쪽에서는 가야산, 석문봉을 연결하는 주맥(主脈)을 척추로 하여 가야산, 원효봉의 동서성 지맥, 석문봉, 일락산, 상왕산의 지맥, 석문봉, 옥양봉, 수정봉의 지맥 등으로 분기되고 있으며, 북으로 가면서 산지들은 약화되어 개석(開析)[원래의 지형면이 하천의 침식 작용으로 골짜기가 형성되면서 새로운 지형으로 바뀌는 일]된 계곡들이 발달하고, 동부의 구릉성 산지로 이화(移化)되고 있다.

셋째, 가장 남쪽에 있는 청룡산[236m]과 봉화산[208m] 사이에 모산만이 위치하는 지점에는 철마산[107m]에서 왕자산(王子山)[106m], 석당산(石堂山)[121m], 검봉산[125m], 은화봉[224m], 기지산[320m]을 지나 뫼성봉[130m]까지 12㎞ 거리에 동서 방향의 도상구릉들이 있다.

가야산맥 덕숭산[수덕산]의 화강암 잔류암체에는 현 기후와 다른 고기후(古氣後) 하에서의 지중풍화(地中風化)에 의하여 형성된 화석 풍화혈(化石風化穴)이 나타난다. 덕숭산의 화석 풍화혈은 우리나라의 해안이나 내륙에서 발견되는 현생 풍화혈과 비교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