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214 |
---|---|
한자 | 新禮院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신례원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시대에 예산군 금평면(今坪面) 지역일 때 일대 역원(驛院) 중 주요 원의 하나인 신례원(新禮院)에서 신례원리 지명이 유래되었다.
본래 예산군 금평면 지역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용곡리 및 득운리를 병합하고, 신례원리라 하여 임성면(任城面)에 편입되었다. 신례원리는 1917년 임성면의 명칭이 예산면으로 변경되면서 예산면에 편입되었고, 1940년 예산면이 예산읍으로 승격되면서 예산읍에 편입되었다.
동부 및 남부에 해발고도 100~400여 m의 구릉지가 발달되어 있는데, 동부 경계의 덕봉산(德鳳山)[473.9m]은 일대에서 가장 높다. 서부에 해발고도 100m 이하의 무한천 지류 범람원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다.
신례원리는 예산읍의 중북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간양리·수철리, 서쪽으로 창소리·관작리, 남쪽으로 관작리·석양리, 그리고 북쪽으로 궁평리·간양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2015년 12월 30일 현재 면적은 3.55㎢인데, 이 중 논이 0.64㎢이고, 밭이 0.55㎢이다. 인구는 1,799가구에 4,144명[남자 2,121명, 여자 2,023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 중 외국인은 69가구 69명이 거주하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점촌, 삼거리, 용곡리, 득적동, 득운리 등이 있다. 신례원리의 인구가 많은 것은 신례원역 왼쪽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기 때문이다.
군도15호선[창신로]이 신례원리의 서부, 중부 및 동부를 북서-남동 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기타도로들은 신례원리의 서부 일대를 지나고 있는데, 서부에서 군도15호선에 연결된다. 장항선 철도가 신례원리의 서부를 남서-북동 방향으로 지나면서 개설되어 있는데, 신례원리의 북서부에 신례원역이 설치되어 있다.
서부의 무한천 지류 범람원 충적지에서 논농사가 주로 이루어지고, 동부 및 남부의 구릉지에서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장항선 신례원역, 신례원정류소 등이 있다. 유적으로는 용곡사, 일연각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