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424 |
---|---|
한자 | 貴谷里路祭-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유적/민간 신앙 유적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귀곡리 엄나무골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류용환 |
현 소재지 | 귀곡리 노제돌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귀곡리 엄나무골
![]() |
---|---|
원소재지 | 귀곡리 노제돌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귀곡리 엄나무골 |
성격 | 노제돌 |
크기(높이,둘레) | 1m[땅 위 높이]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귀곡리 엄나무골에 있는 노신제를 지내던 돌.
예산군 신양면 귀곡리 에서는 30년 전까지 엄나무골과 가자울마을이 정월보름에 함께 노신제를 지냈다. 마을로 들어가는 길 옆에는 노신제를 지내던 돌 한 기가 여전히 남아 있는데 이 돌을 노제돌이라고 한다. 노제돌 근방에서 옛날에 활쏘기를 하였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은 노제돌이 있는 지역을 활터라고 부른다. 개호기[개호주, 호랑이의 새끼]의 피해, 상여집, 애장터[아이의 무덤터를 뜻하는 사투리]가 있었기 때문에 두려움을 덜어 내고자 마을 사람들이 노제돌을 세워 제사를 지내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예산군 신양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국도32호선을 따라 5㎞ 정도 가면 서쪽으로 귀곡리로 들어가는 입구가 있다. 귀곡리 마을로 들어가는 길 옆에 노제돌이 있다.
귀곡리 노제돌은 돌기둥의 형태로 약 1m 정도만 땅 위로 드러나 있으며 둥근 원형이다.
노신제는 마을의 중·고령자들이 돌아가면서 올렸다. 제물은 마을의 부녀자들이 삼색실과 백무리떡, 술, 북어 등의 음식을 마련하였다. 제사는 간단히 치르며 마지막으로 소지(燒紙)를 올렸다. 소지는 가재울에 살고 있던 고(故) 안금동이 맡아서 올렸다.
귀곡리 노제돌은 현재 관리가 되지 않아 주변에 수풀이 우거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