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442 |
---|---|
한자 | 新坪里-彌勒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2리 |
시대 | 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류용환 |
제작 시기/일시 | 고려시대 - 신평리 돌미륵 제작 추정 |
---|---|
현 소장처 | 신평리 돌미륵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2리
![]() |
성격 | 미륵불 |
재질 | 돌 |
크기(높이) | 270㎝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에 있는 고려시대 돌미륵.
신평리 돌미륵은 예산군 덕산면 신평2리에 있으며,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덕산면사무소에서 남서쪽으로 800여m 정도 들어가면 가야관광호텔의 맞은편 도로 서쪽에 인접한 식당 앞에 신평리 돌미륵이 있다.
전체 높이 270㎝ 정도로 동쪽을 향하여 서 있다. 전체적으로 균형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데, 상단부에는 4각의 보개를 쓰고 있으며 석불입상은 1매의 석재로 만들어져 있다. 머리에는 조각된 보관을 쓰고 있으나 마모되어 문양은 확인할 수 없다.
전체적으로 크기에 비해 상호(相好)[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가 매우 크다. 이마에는 백호(白毫)[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가 양각되어 있으며 눈은 반쯤 뜨고 있다. 코는 비교적 거칠게 표현되고 있으며 입은 얇은 입술을 ‘-’자로 꼭 다물고 있다. 의습은 통견(通絹)이나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해 정확하지는 않고 굵은 선으로 간략하게 의문을 처리하였다.
왼손은 가슴께로 올려 엄지와 중지를 잡은 중품을 하고 있으며 오른손은 손바닥을 펴서 가볍게 내려 배 부분에 대고 있다. 미륵불의 뒷면에는 아무런 조각도 되어 있지 않고 옆면도 일부 파손되어 있다. 현재 시멘트 기단에 하부가 매몰되어 있어 정확한 크기나 미륵불의 하부 조각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가 없다.
마을 사람들은 정월보름이 되면 돌미륵에 치성을 드리거나 소원을 빌었다. 특히 출산을 하지 못하는 여자가 미륵의 각 위에 돌을 던져 놓으면 아들을 낳을 수 있었다고 하며 주민 중에는 개인적으로 위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고려 전기 충청도 지방에서는 돌을 대충 다듬은 다음 간략하게 표현하는 방식이 유행하였다고 하며 신평리 돌미륵도 이와 관련하여 고려시대 미륵으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