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558 |
---|---|
한자 | 德岑書院遺墟碑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종경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해준 |
건립 시기/일시 | 1942년![]() |
---|---|
보수|복원 시기/일시 | 1984년![]()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488년 - 김구 출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534년 - 김구 사망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705년 - 덕잠서원 건립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871년 - 덕잠서원 서원훼철령으로 훼철 |
현 소재지 | 덕잠서원 유허비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종경리
![]() |
원소재지 | 덕잠서원 유허비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
![]() |
성격 | 비석 |
관련 인물 | 김구 |
재질 | 돌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145㎝[비신 높이]|53㎝[비신 너비]|22㎝[비신 두께]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종경리에 있는 1705년 세워진 덕잠서원을 기념하는 비.
덕잠서원은 자암 김구를 배향하고 있는 예산군의 유일한 사액서원이었다. 서원이 건립된 것은 1705년(숙종 31)이며, 1714년 사액받았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훼철되었고, 이후 다시 복설되지 못한 채 현재 예산군 예산읍 향전리에 터만 남아 있다. 1942년 김구(金絿)[1488~1534]의 후손들이 유허비를 서원터에 건립하였으나 1984년 덕잠서원의 주향 인물인 김구 묘소 아래 새로 건립하였다.
덕잠서원 유허비는 1942년 서원터에 세웠던 것을 1984년 이전하여 새로 고쳐 세웠다. 비석의 뒷면에 “원래의 터에 민가가 즐비하게 세워져 있자 그 터를 회복하지 못하고 덕잠서원의 주향 인물인 자암 김구 선생의 묘소 아래에 세웠다.”라는 기록이 있어 유허비의 건립 경위를 알 수 있다. 1942년 유허비를 건립한 주체는 김구의 사손(嗣孫) 김면익(金冕益) 및 김필진(金弼鎭)과 족인들이었다. 이들은 서원 철폐 이후 지나가는 사람들이 터를 가리켜 서원터라고 말하는 것에 아쉬움을 느끼고 서원을 재건하기는 힘든 상황이므로 비석을 세워 기억하고자 하였다.
예산군 신암면 종경리에 있는 신암면사무소에서 약 100m 떨어진 곳에 김구 묘역이 있다. 김구 묘역 아래에 있는 김구 신도비 옆에 덕잠서원 유허비가 있다.
덕잠서원 유허비 비신은 높이 145㎝, 너비 53㎝, 두께 22㎝이다.
비문은 일제강점기의 통제정책사(統制政策事)로 일제에 항거한 성헌(惺軒) 임한주(林翰周)[1871~1954]가 썼다. 1984년 유허비를 다시 세운 주체는 첫 비석을 건립한 다음 세대인 15대손 김인관(金寅觀)이다. 김인관은 김구의 신도비를 세우면서 남은 재료로 1942년 유허비를 고쳐 새 덕잠서원 유허비를 세웠다고 한다. 비석에는 임한주의 글을 그대로 쓰고 15대손 정인관이 추기(追記)로 서원의 설립에서부터 훼철, 1984년 비석을 고쳐 세우기까지의 과정을 약술하였다. 글씨와 전자(篆字)는 문익공(文翼公) 정광필(鄭光弼) 15대손인 정길모(鄭吉謨)가 썼다.
덕잠서원은 자암 김구 사후 예산지역의 유생들이 서원 건립 상소를 올려 세워졌다. 덕잠서원 건립은 김구의 충절과 교우가 세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비문에 적힌 서원의 설립과 훼철 과정, 일제강점기에 후손에 의해 유허비를 세운 내용 등을 통해 김구와 덕잠서원을 통한 광산김씨 문중의 위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