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649 |
---|---|
한자 | 靈山辛氏宗中所藏文書 |
이칭/별칭 | 대술면 영산신씨 종중 소장 문서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송석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류용환 |
성격 | 고문서 |
---|---|
관련 인물 | 신계영(辛啓榮) |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송석리의 영산신씨 종중에서 가지고 있는 조선 후기 관련 문서.
영산신씨 종중 소장 문서의 특징은 예산 입향 이후 가문을 현창시킨 신계영(辛啓榮)[1577~1669]의 것이 다수이다. 시기적으로는 17세기 전반에서 18세기 후반에 이르는 자료가 대부분이고, 19세기 초반의 자료도 있다.
영산신씨 종중 소장 자료인 고문서는 모두 낱장으로 되어 있으며, 완전한 모양을 갖추고 있는 것은 155점이고, 나머지는 일부가 결락되어 있다.
예산 지역의 영산신씨 종중 소장 자료는 고문서 224점이다. 교첩 8점[신계영 8점], 교지147점[신계영 94점, 신종원 2점, 신경유 21점, 신의정 2점, 신진 1점, 신수화 10점, 신최언 3점, 신보벽 1점, 신주엄 1점, 신경적 1점, 부인교지 10점, 기타 1점], 유지 7점[신계영 7점], 시호서경(諡號署經) 2점[신계영 2점], 녹패 2점[신경유 2점], 해유첩정(解由牒呈) 2점[1704년 9월 4일 체직하게 된 전보은현감의 해유를 위해 보은현감이 호조로 보내는 첩정 1점, 지방관이 해유첩정에 붙인 물목단자], 해유이관(解由移關)[해유는 관원이 교체될 때 후임관에게 그 사무와 관리하던 물품을 인계하고 재직 중의 회계와 물품관리에 대한 책임을 면하는 일] 2점, 호구단자(戶口單子) 1점[신보벽으로 추정], 준호구(準戶口) 4점[신보벽 54세, 신최량 70세, 미상, 신최량 73세, 신경유 18세], 시권(試券) 3점[신경유, 신동석 등], 명지(名紙) 12점, 제문(祭文) 23점[신계영 등], 행장초(行狀抄)1점 등이다.
영산신씨 종중 소장 고문서의 시기는 대략 17세기 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이르는 것으로, 영산신씨의 활발한 사족활동을 엿볼 수 있는 자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