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727 |
---|---|
한자 | 李季甸 |
이칭/별칭 | 병보(屛甫),존양재(存養齋),문열(文烈)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조민희 |
조선 전기 예산 출신의 문신.
이계전(李季甸)[1404~1459]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수양대군을 도왔으며 공신에 책봉되었다.
이계전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며 자는 병보(屛甫), 호는 존양재(存養齋),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할아버지는 목은(牧隱) 이색(李穡)이며, 아버지는 중추원사 이종선(李種善),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이계전은 1427년(세종 9) 친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집현전학사가 된 이후 다수의 국가 편찬 사업에 참여하였다. 1435년 집현전부교리로 승진하였고, 1436년 왕명으로 김문(金汶) 등과 함께 총 149권의 『강목통감훈의(綱目通鑑訓義)』를 편찬하여 세종이 이계전을 비롯한 찬집관들을 불러 노고를 치하했다고 한다. 1438년 아버지 이종선이 사망하자 벼슬을 사임하고 3년간 시묘를 산 뒤 1441년 복직하였다. 1445년 집현전직제학으로 있을 때 사창(社倉)과 의창(義倉)의 문제점 및 저화(楮貨)[고려 말기·조선 전기에, 닥나무 껍질로 만들어 쓰던 종이돈] 무용론, 답험손실법(踏驗損失法)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이계전은 1447년 동부승지, 1450년 좌부승지를 거쳐 도승지로 승진하였다. 1452년(단종 즉위년)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1453년 호조판서에 이어 병조판서로 자리를 옮겼으며, 병조판서로 재임할 때 수양대군이 김종서(金宗瑞) 등의 권신들을 제거하는 계유정난을 일으키는 데 가담해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되었다. 1455년(세조 1) 이조판서에 제수되었고, 다음 해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1458년 세조로부터 계유정난과 단종 복위 운동에 참여하지 않고 세조를 도운 공로에 대해 칭송하는 특별 교서를 받았다. 1459년 7월 경기관찰사에 임명되었는데, 1459년 9월에 사망하였다.
이계전의 묘소는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사곡리 가래울마을에 있다. 묘역에는 1999년에 조성한 이계전 신도비가 있으며, 묘역 입구에는 2층 양옥 건물로 지어진 숭모재(崇慕齋)가 세워져 있다.
이계전은 1453년(단종 1)의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정인지(鄭麟趾) 등과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에 녹훈되었다. 또한 단종 복위 운동 때 세조를 도운 공로로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좌익공신에 녹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