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729 |
---|---|
한자 | 李德成 |
이칭/별칭 | 득보(得甫),반곡(盤谷),지비자(知非子)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 후사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고순영 |
출생 시기/일시 | 1655년 - 이덕성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677년 - 이덕성 진사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682년 - 이덕성 춘당대정시 병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85년 - 이덕성 사간원정언에서 순안현감으로 좌천 |
활동 시기/일시 | 1690년 - 이덕성 해주목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699년 - 이덕성 파직 |
활동 시기/일시 | 1704년 - 이덕성 충청도관찰사 임명 |
몰년 시기/일시 | 1704년 - 이덕성 사망 |
부임|활동지 | 이덕성 부임지 - 황해도 해주시 |
부임|활동지 | 이덕성 부임지 - 충청남도 공주시 |
묘소|단소 | 이덕성 묘소 -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 후사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전주(全州) |
대표 관직 | 병조정랑|충청도관찰사 |
[정의]
충청남도 예산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이덕성(李德成)[1655~1704]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정언·지평·관찰사·동지부사·형조참의 등의 벼슬을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재직 중 부임지에서 사망하였다.
[가계]
이덕성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득보(得甫), 호는 반곡(盤谷)·지비자(知非子)이다. 정종(定宗)의 아들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8대손이다. 할아버지는 호조판서를 지낸 이경직(李景稷), 아버지는 이후영(李後英)이며, 어머니는 호조참판 조문수(曺文秀) 의 딸 창녕조씨(昌寧曺氏)이다. 8세 때 부모가 사망하여 숙부인 서곡(西谷) 이정영(李正英)의 양육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활동 사항]
이덕성은 1677년(숙종 3)에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82년 춘당대정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곧 부정지 겸 춘추관기사관이 되어 『현종실록(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여러 관직을 거쳐 1685년 사간원정언이 되었지만 시정의 득실을 논하다가 순안현감으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곧 병조좌랑을 거쳐 다시 정언, 지평이 되어 국정 전반에 걸쳐 잘못된 폐단을 개혁하기 위한 적극적인 언론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뒤 병조좌랑, 사복시정을 거쳐 동래부사가 되었는데 이때 동래 상인들의 잠매 행위와 왜인들의 불법 행위를 단속하고 징계하는 데 크게 힘썼다.
이덕성은 기사환국 때에 사직하여 향리에 돌아갔다가 1690년 해주목사, 1694년 병조참지, 1695년 의주부윤이 되었다. 이어 1696년 장혜원판결사와 병조참의를 거쳐 황해도관찰사, 동부승지, 예조참의가 되었다. 1699년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가서 금지령을 어기고 사서(史書)를 구입하다가 파직되었으나 이후 복직되어 형조참의, 무주부사, 강원감사, 형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704년(숙종 30) 충청도관찰사로 부임해 5월 9일 공주감영 선화당에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덕성의 저서로는 『반곡집(盤谷集)』이 있다. 필적으로는 「반곡공수묵(盤谷公水墨)」, 「자의대비옥책초본(慈懿大妃玉冊草本)」, 「문사발우(文史拔優)」 등이 전한다.
[묘소]
이덕성의 묘소는 경기도 과천시 작천면에 있었으나 예산군 응봉면 후사리로 이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이덕성의 초상과 각종 교지를 비롯한 관련 유품 132점이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로 등록되어 2007년 12월 29일 국가 지정 문화재 보물 제1501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이덕성가 문적(文籍)’ 79점이 2008년 4월 2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4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