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769 |
---|---|
한자 | 韓弘祚 |
영어공식명칭 | Han Hongjo |
이칭/별칭 | 영숙(永叔),암촌(岩村),손재(損齋)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암하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고수연 |
출생 시기/일시 | 1681년![]() |
---|---|
몰년 시기/일시 | 1712년![]() |
출생지 | 한홍조 출생지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암하리
![]() |
외가|처가 | 한홍조 묘소 -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궁평리
![]() |
성격 | 학자 |
성별 | 남 |
본관 | 상당(上黨) |
조선 후기 예산 출신의 학자.
한홍조(韓弘祚)[1681~1712]는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명이며 고향인 예산에서 학문에 전념하였다.
한홍조의 본관은 상당(上黨)이며 자는 영숙(永叔), 호는 암촌(岩村)·손재(損齋)이다. 아버지 한윤원(韓崙源)과 어머니 전의이씨(全義李氏)의 2남 1녀 중 장남이다.
한홍조는 1681년 예산현 봉암[현 예산읍 산성리]에서 태어났다. 기호학파인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입문하여 수학하였다. 송시열(宋時烈)의 수제자였던 권상하는 충청도 청풍(淸風)의 황강(黃江) 옆 한수재(寒水齋)에서 살았다. 그래서 권상하의 문하생들을 ‘강문(江門) 제자’라고 하였고, 그중에서 특히 저명한 여덟 명의 제자들을 가리켜 ‘강문팔학사’ 또는 ‘호중팔학사(湖中八學士)’라고 하였는데, 한홍조도 강문팔학사 중 한 사람이다.
한홍조는 관직에 나가 활동하지 않았고 예산에서 학문을 갈고 닦으며 일생을 보내다 1712년 사망하였다.
한홍조의 저서로는 권상하가 제자들과 당론에 대해 문답한 것을 기록한 『강상문답(江上問答)』을 비롯하여 『동유록(東遊錄)』, 『구봉선생래파변(九峰先生來派辯)』 등이 있다. 『동유록』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구봉선생래파변』은 기호학파를 연 구봉(九峰) 송익필(宋翼弼)에 관한 세간의 여론에 대한 변론을 서술한 책이다.
한홍조의 묘는 봉산면 궁평리에 있다. 본래 예산군 예산읍 암하리에 있었는데 부인 단양우씨가 열부 정려를 받고 한홍조묘에 합장되었다. 이후 6대손인 한석호에 의해 지금의 자리로 이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