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780 |
---|---|
한자 | 洪樂敏 |
영어공식명칭 | Hong Nakmin |
이칭/별칭 | 루카,루가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종교인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성태 |
조선 후기 예산 출신의 천주교 순교자.
홍낙민(洪樂敏)[1751~1801]은 이존창(李存昌)과 더불어 충청도 내포 지역의 천주교 전파와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홍낙민의 실천과 노력은 사람들이 천주교에 호감을 가지도록 만들었고, 많은 입교자가 발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홍낙민은 1751년(영조 27) 예산의 풍산홍씨(豊山洪氏) 집안에서 태어났다. 한양으로 이주한 뒤 1789년(정조 13) 과거에 급제하여 정언·전적 등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이승훈·정약용 등과 교유하며 1784~1785년 사이에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세례명은 루카[또는 루가]이다.
『수기』에 따르면 홍낙민은 삽교읍 호동리에 전장(田庄)과 노복(奴僕)을 두고 있었으므로 자주 왕래하며 몇 달씩 머물렀다. 천주교에 입교하여 신앙생활을 하는 노비들은 대가 없이 양인으로 풀어 주었으며, 가난한 이웃을 돌보는 일에도 힘을 쏟아 내포 지역의 집단적 입교를 이루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홍낙민을 일컬어 박종악은 “사학도의 와주(窩主)요 종장(宗匠)”이라고 묘사하기도 하였다.
홍낙민은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체포되어 1801년(순조 1) 4월 8일 서소문 밖에서 순교하였다. 홍낙민은 몇 차례 겉으로는 배교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철저한 신앙생활을 하였고, 특히 묵주기도를 거르지 않고 바쳤다고 한다.
2014년 8월 16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홍낙민을 동료 순교자 123위와 함께 복자로 시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