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1125 |
---|---|
한자 | -總角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창희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을 배경으로 하여 1967년 KBS 라디오에서 방송된 연속극과 주제곡.
「삽다리 총각」은 예산군 삽교읍 상성리, 용동리, 효림리, 두리 등을 배경으로 한 KBS 라디오 연속극이다. 당시 삽교읍 상성리에 살던 작가 추식(秋湜)[1920~1987]이 삽교 과수원집 일꾼을 모델로 하고 삽교읍의 꽃산, 주래뜰, 용머리, 새터말 등의 실제 지명과 예산 사투리를 사용하여 전국적인 인기를 끌었다. 주제곡 「삽다리 총각」은 오세자가 노래하였고, 1971년 유니버셜레코드에서 발매되어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다.
추식은 소설 『부랑아』, 『인간제대』, 『황색시인』, 『가시내 선생』 등과 방송극 「동백아가씨」, 「마포 사는 황부자」 등을 쓴 작가이자 언론인이다. 1967년 예산군 삽교읍 상성리로 거주지를 이전하여 과수원과 목장을 경영하며 예산군을 무대로 「삽다리 총각」, 「솔마루 장사」, 「예산 시악시」, 「능금이 익어갈 때」 등 향토색 짙은 작품들을 발표하였다. 추식은 1978년 예산 문인들과 무한천동인회(無限川同人會)를 창립하고 꾸준히 활동하였다. 지역의 문맥을 지키고 문학 인구의 저변 확대에 기여한 추식을 기려 2011년 덕산온천관광단지에 추식 노래비를 세웠다.
추식 노래비-삽다리총각[작사, 작곡: 추식, 노래: 오세자]
총각 총각 삽다리 총각 / 꽃산의 진달래 손짓을 하는데 / 장가는 안 가고 날일만 할텐가 / 개갈이 안 나네 개갈이 안 나 / 주래뜰 논두렁 개갈이 안 나 / 총각 총각 삽다리 총각// 총각 총각 삽다리 총각 / 용머리 능금이 빨갛게 익는데 / 장가는 안 가고 들일만 할텐가 / 개갈이 안 나네 개갈이 안 나 / 새터말 새악시 개갈이 안 나 / 총각 총각 삽다리 총각
농촌에 정착하여 열심히 사는 삽다리 총각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라디오 연속극 「삽다리 총각」은 방송 당시 전국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또한 예산의 지명들이 그대로 나오고 예산 사투리인 ‘개갈 안 나다’라는 말이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지기도 하였다. ‘개갈’은 ‘일이 시원하게 되어 가는 형세’라는 뜻을 가진 말이며, ‘개갈이 안 나다’라고 하면 일이 더디거나 잘 풀려 가지 않는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