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벼락바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2208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산양리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설|지명유래담
주요 등장인물 부자|인부|인부의 아내
관련지명 벼락바위|금강지도보기
모티프 유형 부부의 불화|하늘의 징계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산양리에서 벼락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채록/수집상황]

1981년에 논산문화원에서 출간한 『놀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금강 하류가 흘러드는 냇가가 있는데, 옛날에 그곳에 소나무가 우거진 작은 산이 하나 있었다. 그 산에는 정자가 하나 있었는데 지나가는 선비나 시인들이 쉬어 가는 이름난 곳이었다. 강 건너에 풍류를 좋아하는 돈 많은 사람이 있었다. 그는 먼 길을 돌아서 이 정자에 오곤 하였다. 항시 불편을 느끼던 부자는 다리를 하나 놓기로 하고 많은 돈을 내놓았다.

다리 공사를 하기 위하여 여기저기에서 많은 인부들이 몰려왔다. 그런데 그 인부 중에 부부 사이가 아주 좋지 않은 사람이 하나 끼어 있었다. 그들은 얼굴만 맞대면 싸우기 일쑤여서 마을 사람들은 그렇게 살려면 차라리 갈라서는 게 낫겠다고 할 정도였다. 아내는 공사장에 점심을 가지고 나와서도 남편에게 언성을 높여 가며 싸우곤 하였다.

어느 날 남편이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 “일에 지쳐 있으니 오늘만큼은 제발 싸우지 말자.”고 아내를 타일렀다. 하지만 아내는 더 성질을 내며 남편에게 달려들었다. 남편은 화가 나서 아내를 걷어찼다. 남편은 싸움이 커지겠다고 생각하며 걱정했는데 뜻밖에도 아내는 ‘흥!’ 하더니 이불을 뒤집어쓰고 잠을 청하였다. 남편은 모처럼 편하게 잠을 잘 수 있었다.

이튿날 점심때가 되자 사나운 아내는 점심밥을 담은 광주리를 이고 공사장으로 나왔다. 그날따라 반찬도 많았고 술병까지 있었다. 남편은 ‘아내가 이제 마음을 바꾸었나 보다’ 하며 기뻐하였다. 그리고 술을 따르려고 하는데, 술병 속에서 독사 한 마리가 머리를 내밀고 혀를 날름거리는 것이 아닌가? 그는 깜짝 놀라 뒤로 물러났다.

그때 술병에서 나온 독사가 옆에 있던 아내를 물었다. 이어 아내의 비명 소리가 나고, 어수선한 가운데 하늘에서 먹구름이 몰려들었다. 먹구름은 순식간에 공사장을 뒤덮었고, 이내 소나기가 퍼부었다.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소리가 나더니 천둥 번개가 부부가 있는 바로 앞에 떨어졌다. 번개는 산과 바위를 두 쪽으로 갈라놓았고 그 갈라진 사이로 금강의 물줄기가 흘러들어 왔다. 부부는 순식간에 금강에 휩쓸려 강으로 떠내려갔다.

사람들은 아내가 남편을 죽이려다가 천벌을 받았고, 남편도 아내에게 잘못한 일이 많아 죽음을 당하였다고 말하였다. 또 하나였던 바위가 둘로 갈라진 것은 생전에 부부의 마음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라고 한다. 벼락을 맞은 바위라는 데 연유하여 이 바위를 벼락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벼락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부부의 불화’와 ‘하늘의 징계’이다. 하늘이 징계를 내리는 과정에서 바위가 벼락을 맞았다 하여 벼락바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 전설은 사이가 안 좋은 부부가 있었는데 아내가 남편을 독살하려고 하자 하늘이 벌하였다는 내용으로, 인간의 사악함에 대한 하늘의 징계가 나타나 있다. 남편을 죽이려 한 아내의 행위는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 징계가 아내 한 사람에 머물지 않고 남편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혼인을 통하여 부부가 하나로 묶여지듯이 부부를 공동 운명체로 본 것이다. 요컨대 이 전설은 부부 갈등이 어느 한쪽에 의한 것이 아닌 공동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서, 부부가 함께 벌을 받는 형태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