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민립대학설립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2563
한자 民立大學設立運動
영어의미역 The Private College Foundation Movement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김형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운동
발생(시작)연도/일시 1922년연표보기
종결연도/일시 1924년연표보기
관련인물/단체 이덕영|박정로|민덕기|김문연|김영신

[정의]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논산지역에서 전개된 문화운동.

[개설]

민립대학설립운동은 3·1운동 이후 일제가 공포한 조선교육령에 의한 관립 경성제국대학 설립에 대응하여 이상재(李商在)를 비롯한 민족주의자들이 민족교육과 민족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민립대학을 설립하려고 한 운동이다. 구체적인 실천을 위하여 조선민립대학기성회의 창립과 더불어 당시 충청남도 논산지역에서도 이에 호응하여 지방부가 조직되었다.

[역사적배경]

일제는 3·1운동 후 문화통치를 선포함과 더불어 내지(內地)의 연장으로 인정하여 조선을 동화(同化)하려는 기본방침을 세우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선무차별교육을 내세운 교육령 개정을 서둘렀다. 그리고 1922년 2월 조선교육령을 발표하고 모든 교육정책의 입안과 운영, 전문학교·대학·예과(豫科) 설립자격은 총독부에서 관장한다는 안을 확정하여 이를 본격적으로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이와 반대로 3·1운동 이후 민족운동 진영에서는 한국인본위교육을 합법적으로 실행하자는 실천운동의 제창과 함께 1920년 6월 한규설(韓圭卨)·이상재(李商在)·유인식(柳寅植) 등 90여 명이 조선교육협회를 조직하는 등 구체적인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배경으로 일본인이나 친일파들에 의해 교육담당자들이 독점되어서는 안 된다는 자각 하에 순수한 민족교육을 전제로 한 최고 교육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는 인식들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목적]

대학 설립과 관련된 일제의 동화교육정책에 대항하는 한국인본위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전개하였다.

[경과]

1922년 11월 23일 서울 남대문 식도원에서 조선민립대학기성준비회가 개최되어 조선교육협회 내에 사무실을 두고 본격적인 활동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발기인들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강매(姜邁)·강제모(姜濟模)·고용환(高龍煥), 동아일보계의 이상협(李相協)·이승훈(李昇薰)·송진우(宋鎭禹)·장덕수(張德秀), 조선교육회의 허헌(許憲)·이상재(李商在)·유진태(兪鎭泰)·최규동(崔奎東) 등이었다.

같은 해 12월부터 각 지방에서 발기인을 선정하여 이듬해인 1923년 3월 29일 전국 170여 군 1,170명 중 462명이 참가한 가운데 조선민립대학기성회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 총회는 1차 사업으로 400만 원을 모아 법학부·경제학부·문학부·이학부를 설립하고, 2차 사업으로 1천 250만 원을 모아 공학부·농학부·의학부를 추가할 것 등을 결의하였다.

또한 김탁(金鐸)·남궁훈(南宮薰)·송진우·이상재·이승훈·조만식(曺晩植)·한용운(韓龍雲)·허헌 등 30명을 집행위원으로, 김교영(金敎英)·김윤환(金潤煥)·김완진(金完鎭) 등 7명을 감사위원으로, 김성수(金性洙)·김병로(金炳魯) 등 7명을 현금보관위원으로 선출하였다.

이어 다음 달인 4월 2일 제1회 중앙집행위원회를 개최하여 위원장에 이상재, 상무위원에 유성준(兪星濬)·이승훈·한용운·유진태·강인택(姜仁澤)을 선출하고 중앙부를 운영하게 하였다. 기성회 중앙의 성원에는 주로 조선교육회(28명)와 조선청년회연합회(11명)에서 많이 참여했으며 기독교청년회(YMCA) 계통의 기독교 인사, 3·1운동 민족대표, 동아일보 등 언론계 인사, 노동사회단체들과 심지어 총독부 주관사업에 참여하던 사람까지 망라하였다.

이후 지방조직의 확대를 서둘러 5월 10일 경성부지방부 발기를 시작으로 지방부가 발기되었다. 그리고 중앙부는 이승훈·조만식·강인택 등 13명을 지방순회위원으로 파견하여 선전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한민족 1,000만이 한 사람 1원씩’의 구호를 내걸고 전국적인 모금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부응하여 같은 달에 논산지역에서도 지방부가 조직되었다. 지방부는 주로 군단위로 설치되었으며, 군지방부는 다시 면단위로 지회를 두었다. 당시 논산지방부 임원은 위원장 이덕영(李悳永), 부위원장 박정로(朴正魯), 회금보관위원 민덕기(閔德基), 감사 김문연(金文淵)·김영신(金永信), 집행위원 15개 면장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같은 시기에 전개된 사립고등보통학교 기성모금운동에 참여한 발기인이 많아 민립대학 기성모금활동은 부진하였다. 더욱이 일제는 관동대지진 후 일체의 집회·선전을 허용하지 않은데다 지방 유지들을 대상으로 구제의연금을 징수하는 등 조직적으로 민립대학설립운동을 방해하였다. 또한 「조선교육령」 제12조에 따라 1923년 11월 일인들만으로 대학창설준비위원회를 만들고, 이듬해 5월 경성제국대학관제를 공포하는 등 식민지 교육기관체제를 강화하였다.

그리하여 지방 발기인들은 하부조직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고 중앙부 역시 구체적 계획과 조직력을 발휘하지 못한 채 1924년 여름부터 민립대학설립운동은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26년 이종린(李鍾麟)·박승철(朴勝喆)·최원순(崔元淳)·구자옥(具玆玉)·한기악(韓基岳) 등이 다시 민립대학설립운동을 제창했지만 곧 소멸됨과 더불어 논산지방부도 와해되고 말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