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무줄놀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760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변성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수시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서 여자아이들이 노래에 맞추어 줄을 넘나들며 노는 놀이.

[개설]

두 사람이 긴 고무줄을 양쪽에서 잡고, 한두 사람이 노래에 맞추어 줄을 넘으면서 고무줄이 발에 닿지 않게 하거나 다리를 높이 거는 것을 겨루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여자 아이들의 놀이다. 3명 이상이면 즐겁게 놀이를 할 수 있으며, 그 이상 여러 명일 때는 짝을 지어 편을 나눠 한다. 양쪽에서 사람이 고무줄을 잡는 것이 보통이지만, 사람이 없을 때는 나무나 기둥 같은 곳에 고무줄을 매고 놀기도 한다.

고무줄에 발이 닿지 않게 넘기, 고무줄에 얼마나 높이 다리를 걸 수 있는가를 겨루기 등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한 가닥 놀이, 두 가닥 놀이, 세 가닥 놀이 등 놀이형태도 다양하다. 고무줄놀이는 여자 아이들에게 신체를 발달시키고 사회성을 키워주는 놀이이다.

[연원]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다. 이 놀이는 고무줄이라는 재료의 특성으로 보아 우리나라의 전래 놀이와는 달리 역사가 짧은 놀이로 볼 수 있다. 그런데 1764년 숙종 당시 청나라 상인 ‘짝뚱방이’란 사람이 고무줄을 들여온 후 숙종이 이를 백성들에게 널리 쓰게 하라는 칙서를 내렸고, 이때부터 아이들도 고무줄을 장난감으로 갖고 놀게 되면서 고무줄놀이가 생겨났다고 학자들은 보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기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지은 『조선의 향토오락』[1941년 간행]을 보면 지방의 놀이로 고무줄놀이가 소개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오늘날과 같은 방식의 고무줄놀이는 1930년대에 민간에 널리 보급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무줄놀이가 보편화되면서 교과서 동요인 ‘산골짜기 다람쥐’를 비롯하여 1950년대 6·25전쟁을 거치면서 ‘자유의 길’[무찌르자 오랑캐~], ‘전우의 시체’[전우의 시체를 넘고 넘어~] 등의 노래가 고무줄놀이 노래로 널리 불리면서 전승의 맥을 이어왔다.

[놀이 도구 및 장소]

특별한 도구는 없으며, 오직 탄력성이 강한 긴 고무줄이 필요하다. 놀이 장소는 학교 운동장이나 집안의 마당, 혹은 동네의 널찍한 공터가 적당하다.

[놀이 방법]

여러 가지 방법으로 두 편으로 가르고 '가위 바위 보'로 순서를 정한다.[한 사람이 남을 때는 두 편을 왔다 갔다 하고 인원이 적을 때는 고무줄 잡는 술래만 정한다.]

술래가 양 편에서 고무줄을 늘어 잡고 노래를 부르면, 이 노래에 맞춰 일정한 동작을 한다. 고무줄 사이를 노래에 맞추어 뛰고, 딛고, 휘감으며 한꺼번에 들어가 놀거나 짝을 지어 놀이한다. 이때 박자를 맞추지 못하거나 고무줄을 밟아야 할 경우 고무줄이 엉키거나 퉁겨 오르면 죽게 되고 한 편이 모두 죽으면 편을 서로 바꾼다. 실수를 하지 않고 동작을 완료하면 고무줄 높이를 발바닥→무릎→가랑이→허리→겨드랑이→목→머리 위→만세→만만세까지 조금씩 단계를 올려 가며 놀이를 계속 한다. 줄의 높이가 겨드랑이에 이르면서부터는 뛰어넘기가 어려워지므로 물구나무서기로 줄을 넘기도 한다. 이렇게 하여 가장 높은 단계의 동작을 해내는 편이 이긴다. 고무줄 수에 따라 한 가닥 놀이, 두 가닥 놀이, 세 가닥 놀이가 있으며, 아홉단계 동안 한 번도 동작이 어긋나지 않으면 '한 살'을 먹는다.

한 줄로 하는 놀이가 단순한 동작이 점점 높아지는 높이의 단계에 따라 이루어지는 개인 놀이라면 두 줄로 하는 놀이는 일정한 높이에서 점점 복잡한 동작으로 진행하는 집단 간의 경쟁놀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놀이에는 반드시 노래가 따르는데, 학교에서 배운 동요를 주로 부르지만, 가끔은 군가나 유행가를 개사해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이 놀이는 아동놀이 가운데 신체 단련형 놀이라 할 수 있다. 신체 단련형 놀이는 놀이도구가 필요 없는 것이 보통이나, 이 놀이는 고무줄을 이용한다. 고무줄놀이는 줄넘기, 재주넘기, 공놀이 등과 같이 곡예운동의 일종을 행하는 것으로 신체의 공간 조직화는 물론 신체의 균형 잡기에 도움을 주는 운동이다. 또한 신체발달과 활동성을 높일 수 있으며, 팀을 갈라 놀 때는 팀별 협동성과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여자 아이들이 고무줄을 하고 있을 때면 으레 짓궂은 남자아이들이 몰래 달려들어 칼로 고무줄을 자르고 달아나면 화가 난 여자 아이들이 뒤를 쫓아가서 분풀이를 하기도 한다. 어른들은 우리의 생활이 궁핍했기에 적게 먹고 적게 쓰는 것, 즉 먹는 것도 아끼고 고무신 한 켤레라도 덜 닳게 해야 하는 것이 생활신조였기에 고무줄놀이를 하는 여자아이들에게 “배 꺼진다 뛰지 마라, 신발 떨어진다 뛰지 마라”하고 나무라면 어른들의 눈을 피해가며 맨발이나 버선발로 이 놀이를 즐기기도 했다.

고무줄놀이를 하며 부르던 노래는 대부분 학교에서 배운 동요가 많았으나 때로는 군가나 당시 유행되던 노래도 있었다. 일제 때나 해방 후 주로 불리던 노래는 “피었네 피었네 우리나라 꽃 …, 고기를 잡으러 바다로 갈까나 …, 새야 새야 파랑새야…, 푸른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아가야 나오너라 달맞이 가자 …, 전우의 시체를 넘고 넘어 앞으로 앞으로 …” 등 민족사의 애환을 담은 노래들이나 군가도 있었다. 그러나 60년대 중반이후부터는 “금강산 찾아가자 일만이천봉…, 이 강산 침노하는 왜적무리를…, 기미년 삼월일일 정오…, 기찻길 옆 오막살이 아기아기 잘도 잔다…, 새신을 신고 뛰어보자 팔짝…, 새나라의 어린이는 일찍 일어납니다…, 나의 살던 고향은 꽃 피는 산골…, 장난감 기차가 칙칙 떠나 간다”, “이상하고 아름다운 도깨비 나라” 등 학교에서 배운 동요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현황]

현재 고무줄놀이는 서귀포시 소재의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 전통놀이 교육 차원에서 행해지고 있을 뿐 동네 공터나 학교 운동장에서 놀이를 하는 것을 찾아보기 어렵다. 예전에는 어린 아이들이 학교에서 돌아오면 가방을 놓자마자 동네 공터에서 친구들끼리 짝을 지어 해가 지도록 고무줄놀이를 했으나, 오늘날은 방과 후 수업에 학원 수강 등으로 함께 모여 놀이를 할 여유가 없어 생활 속에서 널리 전승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