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029
한자 言語
영어공식명칭 Languag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유정

[정의]

경상북도 영덕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개설]

지리적 여건과 문화적 배경은 그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에도 반영되어 언어생활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경상북도 동북부에 자리한 영덕 지역의 생활권은 영덕읍을 중심으로 강구면·남정면·달산면·지품면 생활권, 영해면을 중심으로 축산면·창수면·병곡면 생활권 두 권역을 나누어져 있다. 두 지역 사이에 해발 511m의 국사봉(國祠峰) 줄기가 가로놓여 있어서 역사적으로 통합과 분리를 거듭하여 사회·문화적 요소뿐만 아니라 언어적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또한 동해안 지역 어민들의 경제생활과 관련된 언어에서 영덕 지역과 차이가 예견된다.

[영덕 지역어의 특징]

영덕 방언은 같은 동해안 지역이라고 해도 해안의 어촌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농촌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차이가 있다. 동해안 지역 가운데서도 어촌 지역은 육로를 통한 왕래뿐만 아니라 해로를 통한 왕래나 어로 작업을 통한 상호 간의 교섭이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그들 사이의 언어 전파는 육로로만 왕래하는 농촌 지역 간의 언어 전파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리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추정이 가능하다면, 어촌어와 농촌어의 차이는 사회 방언의 차이가 아닌 지역 방언의 차이이다. 바꾸어 말하면 동해안 어촌 지역어는 그 전파 과정의 차이로 말미암아 그들 나름의 방언권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농촌 지역어와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특히 영해 지역 주민들은 영해면 소재지인 성내리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생활권을 이루기에 영덕 지역과의 언어적 차이를 보인다.

영덕 지역어의 자음체계는 ‘ㅂ, ㅃ, ㅍ, ㅁ, ㄷ, ㄸ, ㅌ, ㅅ, ㄴ, ㄹ, ㅈ, ㅉ, ㅊ, ㄱ, ㄲ, ㅋ, ㅇ, ㅎ’ 등 18개의 자음이 음소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ㆆ’도 영덕에서는 음소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지역어에서는 ‘ㅆ’이 음소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살:쌀’, ‘사다:싸다’ 등이 대립하지 못한다. 그러나 영덕군 영해면괴시리의 경우 인근 지역과 달리, 'ㅅ'과 'ㅆ'이 변별된다. 이는 해당 지역이 가진 '반촌언어'의 성격 때문이다.

영덕 지역어의 모음 체계는 ‘ㅣ, ㅏ, ㅜ, ㅗ’ 등 4개의 모음 음소로 설정되어 있다. 표준어 ‘e, ɛ’에 해당하는 모음은 ‘e’와 ‘ɛ’가 중화된 /E/로 실현된다. 표준어 ‘ɨ, ə’에 해당하는 모음도 ‘ɨ’와 ‘ə’가 중화된 /Ǝ/로 실현되어, 단모음은 6모음 체계를 지닌다. 그 예로는 'ㅣ(i) ㅓ(Ǝ) ㅜ(u) ㅐ(E) ㅏ(a) ㅗ(o)' 등이 있다.

영덕 지역어의 이중모음은 다음과 같다. y계 이중모음은 yE, yƎ, ya, yu, yo 등 다섯 가지가 있으며, yE를 제외하고는 선행 자음의 유무에 상관없이 실현된다. W계 이중모음은 wi, wE, wE, wa, wƎ 등이 있다. 이 지역의 경우 선행 자음의 유무에 상관없이 실현된다. 영덕 지역어의 이중모음 체계에는 'ㅐ(yE) ㅕ(yƎ) ㅠ(yu) ㅑ(ya) ㅛ(yo)/ㅟ(wi) ㅝ(wƎ) ㅙ(wE) ㅘ(wa)' 등이 있다.

영덕 지역어는 성조 지역에 해당하는데, 성조형에서는 중세 국어의 평성형과 상성형의 대응형은 경북 동해안과 강원도 동해안이 일치하나, 거성형의 대응형은 제2음절이 고조화되는 개신형이 생겨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세 국어 평서형은 'LHHH/LLHH/LLLH/LLLL', 거성형은 'HHHH', 상성형은 'L-HHHH' 이다. 경상북도 동해안 지역에 있는 영덕 지역의 경우 평서형은 'HLLL/LHLL/LLHL/LLLH', 거성형은 'HHLL', 상성형은 'L-HLLL' 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