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600301 |
---|---|
한자 | 禮山大興鄕校- |
이칭/별칭 | 예산 교촌리 은행나무,대흥향교 은행나무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보호수 |
지역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교촌리 538]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 |
최초 식재 시기/일시 | 1499년 - 예산대흥향교은행나무 식재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2년 08월 10일![]()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2년 08월 10일![]()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예산대흥향교은행나무 충청남도 기념물 재지정 |
소재지 | 예산대흥향교은행나무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교촌향교길[교촌리 538]![]() |
학명 | Ginkgo biloba |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관다발식물문〉구과식물강〉은행목〉은행나무과〉은행나무속 |
수령 | 약 500년 |
관리자 | 마을 주민 |
문화재 지정 번호 | 충청남도 기념물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교촌리에 있는 수령 500년 이상 된 은행나무.
예산대흥향교은행나무는 예산군 대흥면 교촌리 향교말에 있는 은행나무 고목으로, 농사의 풍년과 집안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민속을 내포하고 있다.
예산대흥향교은행나무는 은행나무 한 그루로 구성되어 있으며, 은행나무의 높이는 16m, 흉고 둘레는 5.8m이다. 은행나무 윗가지의 썩은 부분, 즉 주간지(主幹枝) 밑 중간 부분의 동공에서 직경 1m 정도의 느티나무가 약 130년째[또는 약 170년째] 자라고 있어서, 은행나무와 느티나무가 한몸을 이룬 기묘한 형태이다. 생물학적으로 이종간 접목은 있을 수 없으나, 아마도 느티나무 종자가 바람에 날려서 썩은 동공 부분에서 발아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서 매년 음력 정월 초에 택일하여 예산대흥향교은행나무를 영수(靈樹)로 간주하고, 목신제(木神祭)의 일종인 행장군제(杏將軍祭)를 지내고 있다. 행장군제는 약 367년 전부터 지내 왔다고 전해진다. 당시 인근 마을에 전염병이 돌아 많은 병사자를 낳았다. 그래서 어떤 부모가 흰 소복을 입고 나무를 돌며 기도를 하였다. 그 이후로 마을에는 유행병과 각종 질병, 동민들의 비명횡사 등이 생기지 않았다고 한다. 그 뒤로 마을 사람은 매년 나무에 제사를 올렸다. 1973년 가을철에 대흥 일대에 감기가 유행하여 사람들이 죽어갈 때, 마을 사람들은 행장군제를 지내 건강하게 살았다고 한다.
마을 주민[함순구, 여, 1938년생]에 따르면, 마을에서 제일을 택일하고 생기복덕이 닿는 사람으로 ‘주당’을 선출한다. 주당은 제의와 관련된 모든 일을 주관한다. 제당일 아침에 주당은 제장 주위와 은행나무에서 약 50m 떨어진 곳에 있는 샘물을 품어 청소를 한 뒤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핀다. 부정한 사람은 제의를 구경할 수 없다. 만약 제의를 준비하는 동안에 부정한 일이 생기면, 제의를 연기하고 새롭게 택일한다. 경우에 따라 제의를 다시 지내기도 한다. 예전에 여름에 태풍으로 인해 은행나무의 큰 가지가 부러졌을 때, 마을 사람들이 제를 다시 지냈다고 한다. 더불어 은행나무 가지를 자르면, 동민들이 죽는다는 고사도 전해진다.
제비(祭費)는 제 지내기 5일 전에 이장이 집집마다 걸립하여 마련한다. 근래에는 만 원씩을 걷고 있는데, 모든 가족이 소지를 올리고 싶은 경우에는 제비를 조금 더 낸다. 제비가 마련되면 이장이 장에 가서 제물을 구입해 온다. 저녁 8시가 되면, 샘에서 간단한 축원을 하며 유왕제[용왕제(龍王祭)]를 지낸다. 그리고 은행나무 앞에서 제를 지낸다. 제물은 유왕제와 행장군제의 몫을 따로 준비한다. 유왕제 제물은 메 한 그릇, 미역이나 미역국, 김을 준비하며, 행장군제 제물은 삼색실과와 백설기를 한 말 준비한다. 유교식 제의를 지내고 나면, 공동 축원을 하고 나이 순서로 대주 소지를 올린다. 그리고 외지에 나가 있는 마을 사람을 위한 소지를 올리고, 마지막으로 축원을 한 번 더 올리고 마친다. 교촌리마을의 행장군제는 풍년을 기원하는 목적도 있다.
예산대흥향교은행나무 수령은 「행정정보 공개자료」에 따르면 약 500년 이상으로 추정되며, 충청남도 도나무 제8-67호와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160호로 지정하였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다. 관리는 마을 주민이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