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493
한자 言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명재

[정의]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발생하여 예산 주민들이 일상으로 사용하는 말.

[개설]

언어의 전승은 한 지역 주민들이 조상 대대로 써 온 언어를 대상으로 다루는데, 이는 크게 방언과 지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방언과 지명은 이 지역 주민들의 생활양식, 사고방식, 전통, 역사를 꿰뚫어 볼 수 있는 귀중한 자산이 된다.

예산의 언어는 큰 범주로는 중부 방언에 속하며, 작은 범주로는 충청남도 서북부 방언에 속한다. 충청남도 서북부 지역은 비교적 경기도와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전라도와도 멀리 떨어져 있다. 그리하여 아산만을 기준으로 경기 방언과 섞이지 아니하고, 전라북도방언이 일부 섞인 금강 이남의 충청 방언과 다르다. 이는 충청남도 서북부 언어가 충청 방언의 본래적 모습을 잘 지니고 있는 특징으로 귀결되며, 충청남도 서북권 방언에는 예산을 비롯한 당진·서산·태안·홍성·청양의 언어와 보령·공주의 일부 지역 언어가 포함된다.

[채록/현황]

예산의 언어는 현대에 이르러 급속도로 표준어화되었다. 그리하여 대개는 표준어를 사용하며, 예산의 언어는 노년층과 일부 장년층이 쓰고 있다. 예산의 언어 채록은 표준어화가 진행되기 이전의 언어와 현재 남아 있는 언어를 대상으로 채록되었으며,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몇몇 방언학자와 지역민에 의해 정리되고 있다.

[특징]

예산 언어의 특징은 충청남도 방언의 특징과 궤를 같이한다.

1. 음운의 구조와 변동에 나타난 특징 : 음소의 변동은 편의상 표준어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나타내며, 예시 단어는 대표성을 띄는 몇 가지로 한정한다.

1) 자음의 변동 : 긴장자음화[강화 현상], 조음점 이동[구개음화], 첨가와 탈락이 있다.

긴장자음화는 어두음의 강화가 특징적인데, 예컨대 수수 → 쑤수, 시래기 → 싸라귀·씨라구·씨래기, 소나기 → 쏘내기, 사납다 → 싸납다, 삶다 → 쌂따·쌀므다, 그으름 → 끄름·끄럼, 구겨지다 → 꾸겨지다, 고추 → 꼬추, 감다 → 깜다, 검다 → 껌다, 도랑 → 또랑, 닦다 → 딲다, 두껍다 → 뚜껍다, 두꺼비 → 뚜께비, 자르다 → 짤르다, 작다 → 짝다 등을 들 수 있다.

조음점 이동으로는 도끼 → 도치, 가깝다 → 가찹다, 김매다 → 지심매다, 겨 → 저, 곁두리 → 젓두리·젓거리, 계집[계집애] → 지집[지지배], 기저귀 → 지저기·지저구, 기슭 → 지슬기, 깊다 → 짚다·지푸다, 키 → 치, 가리키다 → 가리치다, 가르치다 → 갈쓰다, 혀[혓바닥] → 서·세[섯바당·섯바닥·셋바당·셋바닥], 향나무 → 상나무, 흉[흉터] → 숭[숭터] 등이 있다.

음운 첨가로는 마루 → 말래, 거스르다 → 거슬르다·거실르다, 기르다 → 질르다, 가려고 → 갈라구, 가르마 → 가름마·가름매·가름배, 나보다 → 나보담·나버덤, 나부터 → 나버텀·나부텀, 또아리 → 똥가리, 어린애 → 어린내·어른내, 아버님/아주버님 → 아번님/아주번님, 모이 → 모시, 주머니 → 주먼지, 가위 → 가새, 냉이 → 나승개·나싱개·나슨갱이·나싱갱이, 구유 → 구수, 시렁 → 실겅, 개암 → 개금 등이 있다. 반면, 음운 탈락으로는 마흔/아흔 → 마은/아은, 사흘/나흘/열흘 → 사을/나을/여를, 종이 → 조이를 들 수 있다.

2) 모음의 변동: 전설모음화, 후설모음화, 평순모음화, 원순모음화, 상승작용, 단모음화·축약 등이 있다.

전설모음화로는 보습 → 보십, 쇠스랑 → 소시랑, 벼슬 → 벼실·베실, 들여다보다 → 딜여다보다, 누더기 → 누디기, 두드러기 → 두드레기, 버리다 → 베리다, 가렵다 → 개렵다, 만들다 → 맹글다, 맡기다 → 맥기다, 도련님 → 데련님·되린님, 토끼 → 퇴끼·테끼·퇴낑이, 곰기다 → 굉기다·겡기다, 모퉁이 → 모텡이·모팅이·모켕이, 무섭다 → 미섭다, 고누 → 고니 등이 있다.

후설모음화로는 외양간 → 오양간, 방귀 → 방구, 사위 → 사우, 씀바귀 → 씀바구, 껍질 → 껍줄, 고린내 → 꼬른내 등이 있다.

평순모음화로는 바퀴 → 바기·바쿠, 갈퀴 → 갈키·괄키, 쉽다 → 십다, 쇠 → 세·쎄, 눈꼽 → 눈껍·눙껍, 포대기 → 퍼대기 등이 있다.

원순모음화로는 벌 → 불·부리, 없다 → 웂다·읎다, 고름 → 고룸·고롬, 소금 → 소곰, 먼지 → 몬지·몸지·몸데기 등이 있다.

상승작용으로는 번데기 → 뻔디기, 세숫대야 → 시숫대·시숫대야, 셋 → 싯, 켤레 → 커리, 헝겁 → 흥겁, 널다/넓다 → 늘다/늘따·늘부다, 떨다 → 뜰다, 손가락 → 송꾸락·송꼬락 등이 있다.

단모음화·축약으로는 며느리 → 메누리, 질경이 → 질겅이·질겡이, 변소 → 벤소, 옛날옛날에 → 잇날잇날이, 펴다 → 피다, 흰떡 → 흔떡, 닭의장 → 달기장 등이 있다.

2. 형태, 통사적 특징: 명사류 접미사와 조사, 어미에 나타나는 특징을 들 수 있다.

1) 명사류 접미사 : ‘-악지/-억지’, ‘-탱이/-텡이/-땡이’, ‘-앵이/엥이’ 등이 있다.

‘-악지/-억지’가 붙는 명사류 접미사로는 개구리 → 깨구락지, 동사리 → 구구락지, 다래끼 → 눈다락지, 미꾸라지 → 미꾸락지, 두드러기 → 두드럭지·두드락지, 지푸라기 → 지푸락지, 뾰로지 → 뽀드락지, 검불 → 검부락지 등을 들 수 있다. ‘-탱이/-텡이/-땡이’로는 절구공이 → 절굿땡이, 오금 → 오곰텡이, 부지깽이 → 부지땡이·부시땡이, 눈두덩 → 눈텡이·눈팅이, 겨릅대 → 저릅땡이, 수숫대 → 쑤수땡이, 고랑 → 고랑텡이 등이 있다. ‘-앵이/엥이’로는 조리 → 조랭이, 어레미 → 얼맹이, 이슬 → 이슬갱이, 누룽지 → 누룽갱이, 냉이 → 나슨갱이·나싱갱이, 고삐 → 고뺑이 등이 있다.

2) 조사:특징적인 조사로는 에 → 이, 에게 → 헌티·더러, 에게로 → 헌티루·한티루, 로 → 루, 으로 → 이루, 보다 → 버더·버덤, 하고 → 허구, 마다 → 마두, 부터 → 버터·버텀, 까지 → 까장·꺼정·할라·할래·할치, 라도 → 래두·락두, 마저 → 까장·꺼정·할라·할래·할치, 밖에 → 배끼·뿌니·빼니, 하고 → 허구·허며 등이 있다.

3) 어미: 특징적인 어미로는 -가 → 가·감, -겠 → 겄, -나 → 나·남, -나요/-어요 → 유, -는 → -넌, -는가 → -넌가·-넌감, -는데 → -넌디, -니까 → -니께·-닝께·-ㅇ께, -더라도 → -더래두·-더락두, -도록 → -더락, -려면 → -라믄, -며 → -매, -면 → -믄·-문·-먼, -면서 → -맨서, -세요 → -유·-슈, -수록 → -수루기, -십시오 → -슈, -지만 → -지먼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