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246
한자 衣生活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경희

[정의]

충청남도 예산 지역에서 몸에 걸치거나 입었던 의복과 관련한 생활 풍속.

[개설]

의생활은 생활문화의 한 요소로서 예산 사람이 일상생활이나 의례 시에 착용하였고 지금도 착용하고 있는 복식과 그 문화를 의미한다. 의복은 사람이 살고 있는 지역의 기후나 풍토와 같은 자연환경을 비롯해 원료의 공급, 사람들의 기술, 도덕적 기준과 미적·정치적 관념뿐만 아니라 종교적 가치 등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에 영향을 받게 되며, 무엇보다 이러한 환경을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착용하게 되었다. 다만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고 지역과 지역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문물의 교환이 빈번해져 각 지역에 전승되어 오던 옷의 형태나 기능은 점차 통일되어 전승되었다. 예산 지역 또한 이러한 영향으로 충청남도의 다른 지역과 특별한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용도에 따른 의복]

1. 일상복

평소 집안에서 지낼 때 혹은 나들이를 할 때 예전에는 주로 한복을 착용하였다. 겨울에는 면에 솜을 넣어 입었으며, 여름에는 삼베옷을 입었고 옷감은 주로 광목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1960년 이후에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시장에서 주로 옷을 사 입게 되었으며, 서양식 옷의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어린이는 1950년대까지 대부분 한복을 입었으며, 새 옷은 명절 때나 입는 정도였으며 주로 흰색 무명옷을 많이 입었다. 남자아이들은 흰색 바지저고리를 입었고 여자아이들의 경우 흰색 저고리에 검정 치마를 많이 입었다. 겨울에는 남자아이들의 경우 남색 조끼와 솜을 넣고 누빈 저고리를 입고 외출 시 검정 두루마기를 많이 입었다. 여자아이들은 외출이 적어 특별한 외출복은 없었다고 전해진다. 다만 아주 어린 아이의 경우는 색동옷을 입기도 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부터는 모두 시장에서 옷을 사 입게 되면서 이러한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2. 노동복

논이나 밭으로 일을 하러 갈 때는 주로 집 안에서 입던 낡은 옷을 그대로 입거나 일상복보다 간편하게 고친 옷을 입었다. 남성은 주로 흰색 천으로 만든 바지와 저고리를 입고 허리와 무릎에 끈을 동여 매어 일하는 데 간편하도록 하였다. 여름에는 누런 삼베로 된 잠방이를 입고 반바지를 입어 옷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긴 바지와 남방과 같은 서양식 옷을 주로 입고 있으며, 운동화를 주로 신는다. 여성의 경우는 흰색 무명의 치마저고리를 입었는데, 저고리의 소매를 걷어붙이고 치마는 끈으로 묶어 거추장스러움을 방지하였다. 집안일을 할 때에는 흰색 앞치마를 둘러 치마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였는데, 행동하기 편하도록 한 행위였다. 그러나 역시 근래에는 소위 몸빼라고 부르는 바지를 많이 입고 있으며 웃옷으로 남성과 마찬가지로 남방 등의 서양식 옷을 입는다.

3. 의례복

의례복은 우리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특별한 날 의례 형식을 갖출 때 착용하는 복식을 의미한다. 출생 의례복, 혼인 예복, 수의, 상장 예복, 제사옷 등이 있다. 출생 의례복은 다시 출생 직후, 초생아, 백일, 돌 때 입는 옷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는데, 시기에 따라 입는 옷의 형태가 달랐기 때문이다.

[직조]

농촌에서는 광복 이전까지 대부분 자급자족을 통해 의복을 조달하였다. 즉, 목화를 심어 무명을 짜고, 누에를 길러 명주를 짰으며, 삼을 심어 삼베를 짜 옷을 해 입었다. 무명이 가장 일반적인 옷감이었고, 여름을 제외한 모든 계절의 옷을 짓는 데 사용되었다. 여름에는 삼베와 모시를 주로 이용하는데, 수의의 옷감으로 삼베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고급 옷감으로 명주가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주로 외출복이나 의례복에 이용되었으나 일반인이 입기는 어려운 고급 옷감이었다고 한다.

예산 지역에서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의생활 문화가 일반적이었기에 직접 옷감을 만들어 옷을 지어 입었는데, 1926년이 되면서 예산 지역의 의생활 문화가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1926년 예산군에는 직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충청제사공장이 설립되었다. 공장의 설립으로 가내수공업 형태로 이루어지던 전통적인 직조 생산 모습이 사라지게 되었다. 한편 1980년대부터 예산에서는 다시 삼베 길쌈이 유행하기도 하였는데, 신암면 일대에서 행하여졌다. 신암면은 주위가 평야이고 논농사 이외에는 다른 소득이 없었기 때문에 농한기를 이용해 부업으로 삼베 길쌈을 많이 하였던 것이나, 현재는 삼베 길쌈의 전승이 단절된 상태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