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 의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601390
한자 出生儀禮
영어공식명칭 birth ceremony
이칭/별칭 출산 의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남도 예산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효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의례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아이가 태어날 때를 전후하여 아이의 점지에서 임신, 출산, 양육에 이르는 전 과정 동안에 아이가 건강하고 무탈하기를 바라며 특별한 의미를 담아 베푸는 의례.

[개설]

아이의 출생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통해 한 가정의 대를 잇는 중대사이다. 출생 의례는 아이가 태어날 때를 전후하여 이루어지는 산전 의례, 출산 의례, 산후 의례, 양육 의례로 구성된다. 산전 의례는 기자(祈子) 의례를 비롯해, 임신 후 아이의 성별과 미래를 확인하는 태몽, 임신부의 태중 금기 등을 포함하며, 출산 의례는 출산 공간 선정, 난산, 순산 등의 문제 해결에 관련한 의례를 일컫는다. 산후 의례에는 탯줄 처리, 금기, 산모의 몸조리 등이 포함되며 양육 의례에는 아이 이름 짓기, 병치레, 첫 외출, 백일, 돌 등의 의례가 포함된다.

[절차]

신혼부부가 혼인하고 나서 정상적으로 임신하거나, 불임 때문에 기자 의례를 통해 임산하면 아이의 건강한 출산과 미래를 예견하고자 몇 가지 의례를 치른다. 불임이라면 개삼신을 받기도 하고 절 치성을 드리기도 하며, 남연군묘 근처의 미륵불에 치성을 드린다. 갓머리에 돌을 얹어서 미륵의 머리 위로 올라가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신도 전한다. 삼신할머니[삼신할아버지]가 아이를 점지해야 건강하게 성장한다는 믿음에서 잉태를 기원한다.

임신에 성공하면 산달까지 임신부는 행동거지를 조심하고, 산달에는 가족 모두 부정을 피하고 근신하면서 아이의 순산을 기원한다. 한 가정에는 한 명의 삼신만이 존재하므로 같은 달에 두 명의 아이를 낳지 않아야 한다. 아이는 삼신이 거주하는 안방에서 낳으며, 아이를 받는 산파[삼할미]의 도움으로 순산을 재촉한다.

출산한 아이와 산모에게 부정이 미치지 못하도록 3·7일 동안 대문 앞에 금줄을 드리워 둔다. 아이의 태는 치아로 잘라 보관했다가 3일 후 태워서 나무 아래에 묻는다. 아이의 건강을 위해 삼날·첫이레·두이레·세이레·백일·돌에 삼신밥을 마련해 삼신을 위한다. 백일과 돌에는 살이 풀어지라는 의미에서 수수떡, 깨끗하게 살기를 바라는 뜻에서 백설기, 차지게 살라는 의미에서 인절미를 마련한다.

아이가 첫 외출을 할 때는 이마에 숯검정을 칠하고, 뒤 옷깃에 고추를 꿰어서 간다. 아이를 업은 엄마가 부지깽이를 들고 가기도 하는데, 이는 낯선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아이가 아프거나 탈이 나는 것을 예방하려 함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